"주장하는 자, 증거를 제시하라" 또는 "도전하는 자, 증거를 제시하라"?
"주장하는 자, 증거를 제시하라" 또는 "도전하는 자, 증거를 제시하라"?
세 가지 법률 조항을 인용하는 것으로 시작하겠습니다.
민사소송법 제64조: 당사자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책임이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90조: 당사자는 법률에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자기의 주장의 기초가 되는 사실 또는 상대방의 주장에 반박하는 사실을 증명할 증거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판결이 선고되기 전에 당사자가 증거를 제출하지 않거나 증거가 사실 주장을 입증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입증 책임을 부담하는 당사자가 불리한 결과를 부담합니다.
민사소송법 제91조: 법률관계의 존재에 관한 증명책임은 법률관계의 존재를 주장하는 당사자가 부담하고, 법률관계가 변경 또는 소멸되었거나 권리가 방해되었다고 주장하는 당사자는 법률관계의 변경 또는 소멸의 기초사실 또는 권리가 방해되었다는 점에 대한 증명책임을 부담합니다.
간단히 말해, 이것입니다.
- 입증 책임은 "XX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있습니다. 이의 제기자는 증거를 제시할 때까지 증거를 제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XX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당사자가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법원은 "XX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합니다.
- "XX가 존재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느 정도 입증 가치가 있는 1차적 증거를 제시해야 하는 입증 책임은 이의를 제기하는 측으로 넘어갑니다. 이 시점에서 이의를 제기하는 측이 증거를 제시할 차례입니다. 이의 제기자가 "XX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입증할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법원은 "XX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됩니다.
물론 증명할 필요가 없는 구체적인 사실도 있습니다.
민사소송법 해석 제93조 참조: 다음 사실은 당사자의 입증 대상이 아닙니다.
(i) 자연의 법칙과 정리 및 법칙;
(ii) 잘 알려진 사실;
(iii) 법률에 따라 추정되는 사실;
(iv) 알려진 사실과 일상 생활의 경험 법칙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또 다른 사실;
(v) 법적으로 효력이 있는 인민법원의 판결에 의해 확인된 사실;
(vi) 중재 기관의 유효한 판정에 의해 확인된 사실;
(vii) 유효한 공증 기관에 의해 인증된 사실.
(b) 당사자가 이를 반박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가 없는 한, 전항의 (b)항 내지 (d)항에 명시된 사실, 당사자가 이를 반박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가 없는 한, (e)항 내지 (g)항에 명시된 사실.
의료 과실이 발생했을 때 ...... 의사, 환자, 가족, 병원의 견해는 사실 관계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 의사가 환자를 제때 구하지 못한 경우 ...... 병원은 이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습니까! 증명할 수 있나요?
민사 소송의 법원은 무변론주의를 원칙으로 하므로 누가 주장하고 누가 증거를 제시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립니다.
상대방이 진술한 사실이나 상대방의 증거에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 자신의 증거를 사용하여 상대방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본 질문과 답변은 사이트 이용자의 질문과 답변으로 사이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으며, 침해가 있을 경우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